일상다반사

미 vs 중 무역갈등 !! 보복 관세 대전~

k-travel89 2025. 4. 11. 21:53
728x90
반응형

 

2025년 4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관세 정책을 시행하였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글로벌 무역 질서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각국은 이에 대한 대응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 미국의 글로벌 관세 정책 개요

  • 보편 관세(Baseline Tariff): 2025년 4월 5일부터 모든 국가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대해 10%의 기본 관세가 적용되었습니다.
  •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 미국은 무역 적자 규모, 비관세 장벽, 환경 규제 등을 고려하여 특정 국가에 대해 추가 관세를 부과하였습니다. 이러한 상호 관세는 2025년 4월 9일부터 시행되었습니다.

 

🌍 주요 국가별 관세율

다음은 미국이 주요 교역국에 부과한 상호 관세율입니다

국가상호 관세율총 관세율 (보편 + 상호)
중국 34% 44%
한국 25% 35%
일본 24% 34%
대만 32% 42%
베트남 46% 56%
인도 26% 36%
유럽연합(EU) 20% 30%
영국 10% 20%
이스라엘 17% 27%
캐나다/멕시코 0% (USMCA 준수 시) 10% (보편 관세만 적용)

 

⏸️ 90일 유예 조치 및 중국에 대한 추가 조치

2025년 4월 9일, 미국은 대부분의 국가에 대해 상호 관세 적용을 90일간 유예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는 해당 국가들이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 관심을 보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중국은 예외로, 미국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추가로 인상하여 총 125%의 관세를 부과하였습니다. 이에 대응하여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대해 8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였습니다.


📊 경제적 영향 및 전망

이러한 관세 정책은 글로벌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시장 변동성 증가: S&P 500 및 나스닥 지수가 급락하는 등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이 확대되었습니다.
  • 소비자 물가 상승: 수입 제품에 대한 관세 인상으로 인해 미국 내 소비자 물가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공급망 재편: 기업들은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공급망을 재조정하고 있습니다.

한편 미국과 중국은 서로 보복관세를 매기기 시작했는데

미국의 관세 인상 조치

  • 2025년 2월 4일: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 14195호에 서명했습니다.
  • 2025년 3월 4일: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10%에서 20%로 인상했습니다.
  • 2025년 4월 3일: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해방의 날"을 선언하며, 중국산 제품에 대해 추가로 34%의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이로써 총 관세율은 145%에 달하게 되었습니다 .​

중국의 대응

  • 2025년 2월 10일: 중국은 미국의 관세 인상에 대응하여 석탄과 액화천연가스에 15%, 석유와 농기계에 10%의 보복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또한, 미국 기업에 대한 제재 조치를 강화했습니다.
  • 2025년 3월 10일: 미국산 닭고기, 밀, 옥수수, 면화에 15%의 관세를, 수수, 대두, 돼지고기, 소고기, 수산물, 과일, 채소, 유제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 2025년 4월 4일: 중국은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3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 결론

미국의 새로운 관세 정책은 전 세계 무역 구조에 중대한 변화를 초래하고 있습니다. 각국은 이에 대한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있으며, 향후 무역 협상의 결과에 따라 글로벌 경제의 향방이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과 소비자 모두 변화하는 무역 환경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시점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