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다반사

한국은 끝났다 - South Korea is over

k-travel89 2025. 4. 8. 21:09
728x90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Ufmu1WD2TSk

South Korea is Over 출처 Kurzgesagt

 

최근 유명 유튜브 채널 Kurzgesagt(쿠르츠게작트)가 공개한 'South Korea is Over' 영상이 국내에서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습니다. 이 영상은 한국의 저출산과 인구 감소 문제가 초래할 수 있는 국가적 위기에 대해 데이터와 인상적인 시각 자료로 명확하게 제시했습니다.

 

1. 🚨 한국의 인구 감소와 그 영향

  • 한국은 인구 감소 위기로 경제, 사회, 군사 등 전면에서 붕괴될 가능성이 있다 
  • 2060년에는 현재 우리가 아는 한국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 인구 안정화를 위해서는 여성 1인당 출산율이 약 2.1명이어야 하나, 2023년에는 0.72명으로 역사적으로 가장 낮다 
  • 서울의 출산율은 평균 0.55명으로 절반 이상의 여성은 자녀를 가지지 않으며, 나머지 절반은 1명만 가질 것으로 보인다 
  • 출산율저하의 결과로, 네 세대 후에는 100명의 한국인이 5명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2. 📉 한국의 인구 전망과 경제적 결과

  • UN의 인구 예측은 저출산 시나리오가 최근 몇 년간 가장 정확했으며, 2022년에서 2023년 사이 한국의 출산율은 8% 감소했다 
  • 2060년까지 한국의 인구는 30%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1600만 명이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 인구가 감소함에 따라, 한국의 사회는 고령화되어 절반이 65세 이상이 될 것이며, 어린이 비율은 1%로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 출산율 저하로 인해 경제적 충격이 불가피하며, 40%의 65세 이상 노인이 현재 빈곤선 이하에서 생활하고 있다 
  • 한국의 연금 기금은 7300억 달러 규모에 이르지만, 2040년대부터 감소하기 시작해 2050년에는 고갈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2060년에는 한 명의 직장인이 노인을 부양하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3. 📉 한국 경제의 위기 상황

  • 노인층의 빈곤이 일반화될 것이며, 많은 이들이 일을 해야 하지만, 일자리를 찾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 2060년까지 한국의 경제는 37백만에서 17백만으로 근로 인구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 비록 개인의 생산성은 증가하겠지만, 한국의 GDP는 2040년대에 정점을 찍고 이후 경제적 침체에 접어들 것으로 보인다. 
  • 정부는 세수 감소로 인해 필수 서비스를 축소하거나 중단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할 것이다.
  • 이러한 경제적 위기는 한국 사회와 문화에 더욱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4. 📉 한국 사회의 붕괴 징후

  • 현재 한국에서 20%의 인구가 혼자 살고 있으며, 같은 비율로 가까운 친구나 가족이 없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 70세 한국인의 절반이 형제 없이, 30%는 자녀 없이 살아갈 것으로 예상된다 
  • 25세에서 35세의 젊은 성인은 단지 5%의 인구에 불과하고, 이들은 형제가 없는 경우가 많다 
  • 이러한 상황은 노인들에게는 가까운 가족이 거의 없게 하고, 젊은 세대에게는 친구가 부족하게 만들어 외로움의 전염병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 2060년경, 25세에서 45세의 한국 인구는 5.6백만 명으로 줄어들고, 이는 전체 인구의 16%에 해당한다

 

5. 📉 인구 감소의 심각성

  • 한국의 출산율이 임시적으로 증가하더라도, 인구 구조의 근본적인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다. 
  • 한국의 고령화 현상으로 인해 2060년에는 65세 이상 고령자에 비해 일하는 성인 인구가 극단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 한국 사회는 높은 교육비비용이 높은 주거비 등으로 인해 자녀 양육에 대한 부담이 큰 상황이다. 
  • 한국에서는 전통적인 결혼 문화로 인해 미혼모의 출산 비율이 낮고, 남성들이 가사 및 육아에 적게 참여해 여성에게 더 많은 부담이 지워지고 있다. 
  • 이러한 여러 요인들로 인해 한국은 저출산 문화가 자리잡게 되었으며, 이는 단순한 문제로 끝나지 않는 심각한 사회적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 

5.1. 인구 문제의 불가피한 현실

  • 인구 문제는 일단 발생하면 회복이 불가능한 상황이 된다. 
  • 만약 한국의 출산율이 2.1명으로 세 배 증가한다 해도, 60년 후에는 노인에 비해 경제 활동 인구가 여전히 부족해질 것이다. 
  •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더라도, 한국은 반드시 병목현상을 겪어야 회복의 길을 찾을 수 있다. 
  • 현재 상황은 비관적이지만, 장기적으로는 한국이 사회적 변화를 빠르게 시행한다면 출산율 회복이 가능성이 있다. 

5.2. 한국의 출산율 감소 요인

  • 2024년 출생아 수가 2023년 대비 3% 증가했지만, 이러한 증가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한국 사회가 현재 처한 상황을 인식해야 한다. 
  • 한국은 빠른 속도로 빈곤에서 벗어났지만, 그 과정에서 워커홀릭과 극단적인 경쟁성 문화를 발전시켰다. 
  • 법정 근무 시간은 주 52시간이지만, 많은 이들이 무급 초과근무를 하고 있으며, 정부는 법적 근무 시간을 69시간으로 늘리려는 제안을 하기도 했다. 
  •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과 높은 생활비, 특히 대도시의 부동산 가격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손이 닿지 않는 수준이다. 
  • 사교육비가 매우 높아서 가족들이 자녀를 상위 대학에 보내기 위해서는 사교육비를 부담해야 하며, 한국은 다른 부유한 국가들에 비해 가족 지원에 적게 지출하고 있다. 
  • 결혼은 가족을 시작하고자 하는 커플에게 사실상 필수적이며, 2023년에는 미혼 여성의 출생아 비율이 4.7%에 불과하다. 
  • 한국 남성들은 가사노동과 육아에 가장 적은 참여를 하며, 이로 인해 여성들은 직장을 유지하기 위해 불균형적인 업무 부담을 지게 된다. 
  • 많은 한국인들이 개인적인 결정으로 가족을 시작하지 않기로 선택하고 있으며, 가족을 가질 수 있는 문화가 부족하다. 

 

5.3. 인구 붕괴의 현주소

  • 인구 붕괴는 미래의 추상적인 문제가 아니라 현재 진행 중이며, 이는 한국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도 해당된다.
  • 2023년 중국의 출산율은 1, 이탈리아스페인 1.2, 독일 1.4, 영국미국 1.6으로, 보기에 더 나아 보일지라도 이를 지속할 경우 인구 감소는 심각하기 때문에 그 의미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
  • 많은 대중의 담론에서 상황의 심각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이상하다.
  • 인구 문제는 미래 세대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으로 존재의 위협으로 다뤄져야 하지만, 현재는 주로 노동력 부족 문제로 제한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 인구 문제를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으면, 현대 사회의 DNA를 변화시켜 젊은 세대가 다시 자녀를 갖도록 유도하지 않는 한, 이번 세기가 매우 암울하게 될 것이다.

 

5.4. 인구 변화와 매체의 역할

  • 다층적인 문제인 인구 변화는 현재의 미디어 환경에서 해결하기 힘들며 쉽게 간과될 수 있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해 Ground News를 이용하여 중요한 이야기를 찾고 있다는 점이 강조된다.
  • Ground News는 매일 세계의 뉴스를 한 곳에 모아 보도 내용을 비교하고 보다 큰 그림을 볼 수 있게 도와주며, 이를 통해 정보 기반의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올해 초, 한국이 공식적으로 초고령 사회로 분류되었지만, 이 개발에 대한 보도를 한 출처는 100개 미만으로, 이는 적은 수치이다.
  • 흥미롭게도, 이 뉴스 출처 중 좌파 성향의 미디어는 20%도 되지 않는다.
  • Ground News의 기능 중 하나인 블라인드 스팟 피드는 사라지는 이야기들을 주목하게 만들며, 자신의 개인적인 출처에서 놓치기 쉬운 중요 사건을 강조한다.

5.5. 유럽과 아시아의 이민 정책 차이

  • 슬로베니아의 정부 지원 자료에 따르면, 유럽은 이민을 해결책으로 고려하고 있지만, 한국, 일본, 중국은 이 부분을 회피하고 있다.
  • 다양한 정보를 통해 균형 잡힌 의견을 얻고 스스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ground.new/kin에 가입하면 무제한 접근 Vantage 계획에 대해 40% 할인을 받을 수 있다.
  • ground.new/kin을 통해 구독하면 월 5달러로 가격이 인하된다.
  • 이 서비스를 구독함으로써 Kotkazart를 직접 지원하고 Ground News가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해당 영상은 객관적인 데이터로 한국의 현실을 정확히 분석하고 문제를 직관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다소 자극적인 제목에도 이들은 우리에게 인구 문제의 심각성을 다시 한번 깨닫고 사회적 관심과 대응책 마련의 필요성에 대해 알려주기 위해 제작한 것임이 틀림없다.

 

오로지 이 문제를 우리만 외면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싶다. 

 

 

 

 

 

 

 

 

 

 

728x90
반응형